본문 바로가기
  • 『재해예방, 우리 모두가 만들어갑니다』

콘크리트양생2

콘크리트 양생 현장 질식재해 예방 안녕하세요. 대한건설안전기술원(주)입니다. 겨울이 빠르게 다가오고 있는 지금, 앞서 발생할 수 있는 콘크리트 양생 중 질식재해예방에 대해 다뤄보려고합니다. 2022년 1월 26일 기준, 최근 10년간 건설업 질식재해 25건 17건(68.0%)는 콘크리트 보온 양생 작업에서 발생하였습니다. 이는 양생에 필요한 열을 보충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연료로 갈탄, 숯탄, 겔(Gel), 등유 등의 연료사용 때문입니다. * 갈탄, 등유 등 연료가 연소 시 발생되는 일산화탄소(CO)는 적혈구 헤모글로빈과의 결합력이 산소보다 200~300배 높아 우리 몸 속 산소전달 방해로 질식 유발함 만일, 연료를 사용하더라도 환기를 잘 시켜주면 질식 사고가 발생할 확률은 많이 줄어들 것이며, 안전사고예방을 위해서라도 반드시 상기 연료는.. 2022. 10. 19.
콘크리트 양생기간, 거푸집 해체 시기 (개정일자:22.01.11) 안녕하세요 대한건설안전기술원(주)입니다. 오늘은 거푸집 해체 시기에 대해 정리해보려합니다. 주택현장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보통포클랜드 시멘트' 를 사용하여 시공을 하게 되는데 압축강도를 시험하지 않을 경우, 20℃ 이상일 때 4일 10℃이상 20℃ 미만일 때 6일의 존치기간을 갖게 됩니다. 하지만, 콘크리트 강도시험에 따르면, 일정온도에서 타설 후 하루가 지나면 4~5MPa의 강도가 나온다고하여 실험 없이 하루 양생을 거쳐 거푸집을 해체하는 경우가 있는 시공사의 경우가 있습니다. 안전사고 방지를 위하여 거푸집을 해체해도 될만큼 콘크리트 강도가 유지되는걸 확인한 후 거푸집을 해체하시길 바랍니다. 슬래브 및 보의 밑면, 아치 내면의 압축강도 기준은 설계기준압축강도의 2/3배 이상 또한, 최소 14MPa 이상.. 2022. 9.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