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지도21 2025년 노동부 달라지는 점 안녕하세요. 오늘은 2025년 달라지는 노동부 주요 사업 내용을 공유드리겠습니다. 현장 관리사항은 크게 4가지 사항으로 아래와 같습니다. 1. 폭염 등에 대한 사업주의 보건조치 의무 명확화(중요) - 2025년 6월 1일 시행2. 「산업재해근로자의 날」법정기념일 지정 - 매년 4월 28일3. 위험성평가 인정사업장 심사·관리 강화4.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평균 19% 인상 이상입니다. 2025. 1. 6. 매월 공유되는 중대재해 사이렌 열람경로 안녕하세요. 대한건설안전기술원(주)입니다. 고용노동부에서 사업장 관계자에게 안전의식 및 경각심 고취를 통해 동종·유사재해를 예방하고자 공유하는 자료를 안내드립니다. 관계자분들은 매월 공유되는 자료를 읽어보시고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해주시기 바랍니다. ※ 문서확인경로: 고용노동부>정책소개>정책자료실>중대재해사이렌 2024. 7. 17. [안전보건공단] 해빙기 건설현장 안전보건수칙 및 길잡이 대형 건설사 안전보건자료 (kosha.or.kr) 대형 건설사 안전보건자료 대형 건설사 안전보건자료 이전글 이전글이 없습니다. 다음글 [DL e&c] 교육자료(동영상) - 해빙기 안전가이드라인 kosha.or.kr 2024. 3. 28. 2024 산업안전 대진단(실시기간: 2024.01.29~2024.04.30) 2024. 3. 15. 2024 산업안전 대진단 홍보 협조 요청 공문(실시기간: 24.01.29~24.04.30) 2024. 2. 26. `23년 겨울철 한파로 인한 한랭질환 예방가이드 2023. 12. 18. 사업장 위험성평가 메뉴얼 2023. 10. 20. 추락에 의한 위험 방지 건설업 9월 중대재해 추락(떨어짐)에 의한 사고가 15건(총 24건)이 발생하였습니다. 안전보건규칙 제42조~제49조 확인을 통해 추락에 위한 위험을 방지합시다. 2023. 10. 12. 건설현장 집중호우 복구 및 작업재개 전 핵심안전수칙 2023. 7. 24. 태풍·호우 시 사업장 안전관리 이행수칙 가이드 2023. 7. 14. 휴게시설 설치 의무 대상 '50명 미만 사업장' 확대 2023. 7. 12. 갱폼 조립·해체작업 안전수칙 2023. 7. 12. 임시소방시설 설치계획 안녕하세요. 대한건설안전기술원(주)입니다. 오늘은 임시소방시설 설치계획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임시소방시설이란? 소화기, 간이소화장치, 비상경보장치, 가스누설경보기, 간이피난유도선, 비상조명등, 방호포 등 화재위험이 있는 건축공사 현장에 임시로 배치하는 시설 임시소방시설 설치기준 건설공사를 하는 자(이하 “공사시공자”라 함)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신축·증축·개축·재축·이전·용도변경·대수선 또는 설비 설치 등을 위한 공사 현장에서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작업(이하 “화재위험작업”이라 함)을 하기 전에 설치 및 철거가 쉬운 화재대비시설(이하 “임시소방시설”이라 함)을 설치하고 관리해야 한다. (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15조제1항 및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8조.. 2023. 5. 10. 시스템비계 설치기준 안녕하세요. 대한건설안전기술원(주)입니다. 오늘은 비계 설치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시스템비계란? 과 같이 수직재, 수평재, 가새재 등의 부재를 공장에서 제작하여 현장에서 조립하여 사용하는 가설 구조물 출처 : 시스템 비계 안전작업 지침 (KOSHA GUIDE C - 32 - 2020) 추가로, 사용높이 31미터 이상인 비계를 사용하게 될 경우 안전관리계획서 작성대상이며, 지상높이 31미터 이상인 건축물이므로 유해위험방지계획서도 작성대상이 된다. 시스템비계 구조검토 기준은 산업안전보건법에는 해당되지 않지만 지반여건 등을 고려하여 10미터 이상인 경우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심사 시 요구할수 있다. 시스템비계 설치기준은? 시스템비계 대신 강관비계를 사용해도 되지 않을까? 각 비계별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해당.. 2023. 4. 5. 안전한 보호구 착용 길잡이 2023. 2. 13. 3대 사고유형 8대 위험요인 자체점검표 [순회점검용] 2023. 2. 13. 이전 1 2 다음